본문 바로가기
오늘의 정보

설 연휴 응급상황 대비 비상연락망 가이드

by 생활지식정보 2025. 1. 18.

설 연휴 기간 동안의 응급의료체계 유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. 정부가 발표한 '설 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'은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, 다양한 측면에서 대비책을 마련했습니다. 이 대책은 응급의료 역량 강화, 질환별 맞춤 대응, 그리고 국민들의 협조를 통해 연휴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설명절-비상응급-썸네일
(출처-대한민국 정책브리핑)

설 연휴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정부의 종합 대책

응급의료 역량 강화

정부는 설 연휴 기간 동안 응급의료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합니다.

먼저, 권역·거점센터의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에 250% 가산을 적용하고, 응급의료행위 가산을 인상합니다.

또한, 23개소의 거점지역센터를 운영하여 중증·응급환자의 진료 역량을 유지합니다.

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81개소 권역·지역센터의 중증·응급 수술에 대한 야간·휴일 수가를 기존 200%에서 300%로 추가 가산한다는 것입니다. 이는 의료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, 응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응을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 

응급실 과밀화 방지 대책

응급실 과밀화는 의료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는 다음과 같은 대책을 마련했습니다:

  • 발열클리닉 115개와 호흡기질환 협력병원 197개소 운영
  • 코로나19 확진 환자 입원 시 협력병원에 20만 원의 배정지원금 지급
  • 시·도별 발열클리닉-응급의료기관 사전 매칭 및 광역상황실 지원
  • 인플루엔자 환자 일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
  • 지역응급의료기관 233개소와 응급의료시설 113개소의 진찰료 추가 지원

 

이러한 조치들은 응급실이 호흡기 질환 외 환자들에게 집중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하고, 대형병원 응급실의 과밀화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질환별 맞춤 대응

정부는 다양한 질환에 대해 맞춤형 대응 전략을 수립했습니다:

고위험임산부-등-질환별-대응체계-강화
고위험임산부-등-질환별-대응체계-강화

 

1. 고위험 산모·신생아 대응:

  • 중앙응급의료상황실 내 산과·신생아 전담팀 구성
  • 산과응급질환 대상 순환당직제 확대·운영
  • 시도별 고위험 산모·신생아 대응 '핫라인' 구축

2. 소아 진료:

  • 달빛어린이병원 103개소와 아동병원 114개소의 야간·휴일 운영 독려

3. 심뇌혈관 환자:

  •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개소 신규 지정

4. 특수질환:

  • 급성복증, 수지접합, 골반골절 등 특수질환 진료 가능 의료기관의 연휴 당직·진료체계 구축

주요 응급 연락처

  • 응급환자 및 화재: 119
  • 보건복지콜센터: 129
  • 구급상황관리센터: 119
  • 시도콜센터: 120

의료기관 정보 확인 방법

 

당직 진료 및 점검 강화

연휴 기간 동안 의료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합니다:

 

  • 문을 여는 병·의원과 약국에 대해 진찰료와 약국 조제료 공휴일 가산 20% 추가
  • 전국 413개 응급의료기관에 전담관 지정 및 24시간 모니터링 실시
  • 24시간 재난 상황 상시 모니터링 및 신속대응체계 유지
  • 공공의료기관 활용 (지방의료원 응급실 24시간 대응, 보건소·지소 운영 등)

 

설연휴기간-응급의료공백-최소화
설연휴-기간-응급의료-공백-최소화

국민 협조 요청

정부는 국민들에게 다음과 같은 협조를 요청했습니다:

  • 예방접종 적극 참여
  • 경증 환자의 경우 가까운 동네 의원과 발열클리닉 우선 방문
  • 개인위생 수칙 준수 (손 씻기, 기침 예절, 실내 환기 등)
  • 발열, 기침 등 증상 시 마스크 착용

결론

정부의 '설 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'은 응급의료 역량 강화, 질환별 맞춤 대응, 당직 진료 강화 등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연휴 기간 동안의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. 이 대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정부, 의료기관, 그리고 국민들의 협조가 필수적입니다. 모두가 힘을 모아 안전하고 건강한 설 명절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.